<p></p><br /><br />하루 걸러 터져 나온 군대 부실급식 나른 나라는 어떨까요.<br> <br>세계를 보다, 한수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밥만 잔뜩, 반찬은 반도 안 담긴 군 배식판. <br> <br>방울토마토로 배를 채웠다는 탄식이 SNS에 등장하자 국민들은 "지금이 6.25때냐"며 분노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와 같은 징병제 국가인 이스라엘은 어떨까? <br> <br>볶은 고기부터 계란 스크램블, 신선한 야채와 과일까지 뷔페식으로 차려졌습니다. <br> <br>이스라엘 군 병력은 우리의 3분의 1 수준. 국방예산도 우리보다 적지만 먹는 것만큼은 아끼지 않습니다. <br> <br>3년간 이스라엘 공군으로 복무한 인바 씨. <br> <br>양이 부족하면 곧바로 조치해주고, 음식 배달은 물론 직접 조리도 가능합니다. <br> <br>처우를 개선하니 급식의 질도 올라갑니다. <br> <br>[인바 대니얼 / 전 이스라엘 공군] <br>"(조리병은) 1주일은 일하고 1주일은 집에서 쉬어요. 일은 열심히 하지만, 음악도 들으면서 하고." <br> <br>이스라엘 군대엔 고기 전문가, 샐러드 전문가도 있습니다. <br> <br>영양에서 배식까지 철저한 관리가 이뤄집니다. <br> <br>[A 씨 / 현 이스라엘 공군(교민 2세)] <br>"부사관이 샐러드 관리 부사관, 고기 담당 부사관 이렇게 나눠져 있더라고요. 그래서 자기들 자부심이 있으니까 최대한 음식은 잘 만들려고 해요." <br><br>징병제를 시행하는 또 다른 국가, 스위스. <br> <br>장교와 병사를 분리하는 간부식당도 없고 조리병은 요리사 출신이 대다숩니다. <br> <br>[버나드 / 스위스 급양관리관] <br>"신선한 재료로 양질의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정말 노력합니다. 심지어 최전선 부대에도요. 대부분 조리사들은 최대 4년 전문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." <br> <br>제비뽑기로 모병제와 징병제를 혼합해 운영하는 태국. <br> <br>빨간 종이가 나오면 입대, 검은 종이를 뽑으면 면제됩니다. <br> <br>불만이 있을 수 있기에 급식만큼은 최선을 다해 제공합니다. <br> <br>닭고기와 신선한 야채에서부터 각종 면 요리까지, 푸짐한 급식이 먹음직스럽습니다. <br> <br>마치 대기업 식당처럼 한 개씩 메뉴를 받아가는 일본 자위대 식당. <br> <br>메뉴별로 정량이 담겨져 있습니다. <br> <br>이날 점심 메뉴는 우동을 간장에 찍어먹는 '츠케멘'. <br> <br>"맛있습니다." <br> <br>국방예산은 우리(52조 원)와 비슷한 일본(55조 원)이지만, 육군자위대는 급식을 민간에 위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 세계 국방비 1위인 미국.<br><br>식당은 물론 부대 운영에 필요한 모든 일은 외주로 해결합니다. <br> <br>나라를 지키려면 군인이 조리용 칼이 아니라 총을 잡아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[김영수 / 국방권익연구소장] <br>"과감하게 민간한테 맡겨야죠. 외주화를 통해서 장병들이 훨씬 더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습니다." <br> <br>강한 군대 뒤엔 맛 있는 급식. <br> <br>20대 꽃다운 시절을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젊은이들을 위해 군은 장병들의 먹는 문제와 복지에 조금 더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한수아입니다. <br> <br>sooah72@donga.com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이희정